고양시 136개 노선 중 과반인 ‘마을버스’ 개편, 교통불평등 해소 출발점 될까
페이지 정보

본문
창간 36주년 기획] 기후위기 대응 지속가능교통 전환이 답이다④

대중교통 소외 외곽지역, 승용차 의존도 높아 기후위기 대응 역행
길어진 노선과 긴 배차간격… 역할 잃은 마을버스, 이용자 불만 확산
노선 개편과 준공영제 논의 병행… 시민 중심 교통체계로 전환 필요
①고양시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지속가능 교통정책 방안
②공공교통 필요성과 마을버스 공영제 가능성
③고양시 내부 교통인프라 문제점 : 승용차 없는 일주일 체험
④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고양시 교통불평등
⑤버스공영제 사례: 화성시 부분 버스공영제, 성동구 공공셔틀버스
⑥승용차 대신 대중교통 가능할까: 교통소외 지역 FGI 인터뷰
⑦고양시 도심 내 자전거 인프라 현황 및 문제점
⑧기후위기 대응 위한 지속가능 교통정책 연계 방안은
⑨지속가능한 교통도시 만들기 고양시민 토론회
관련링크
- 이전글경기도 임신 출산 지원 정책가방 25.09.08
- 다음글'전국 막걸리 맛보세요'…고양시 막걸리 축제 20∼21일 열려 25.09.04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